기존에 context API를 활용하면서 코드가 복잡해지고 비교적 간단한 데이터를 공유해야 하고, 빈번하게 렌더링이 발생한다거나 자체적으로 지원해주는 미들웨어 기능 같은 것이 없다. 리듀서를 활용했을 때 어떤 것이 문제이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리덕스 툴킷이 왜 도입되었는지 집중해서 활용해보는 것이 좋다. 기존에 만든 영화 서비스와는 다르게 장바구니 서비스를 만들 것이다. 서버 api는 존재 x.리덕스 툴킷을 활용하면 비동기 처리 미들 웨어 등을 활용해서 처리할 수 있다. 리덕스 툴깃으로 장바구니 서비스 만들기$ pnpm create vite$ pnpm i 장바구니 서비스 관련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 (+ 의존성 설치) tailwindcss도 설치$ pnpm install tailwindcss @..